새길 록 彔

📜 기원과 의미

 새길 록
 : 새기다, 베다, 기록하다        :  Carve, Record           :  しるす (shirusu) ろく (roku)
  :  lù       부수 :  彑 돼지 머리 계   :  彑 돼지 머리 계 + 氺 물 수  

그림한자공부

새길 록 彔 한자는 갑골문에 우물 위에 설치된 간단한 물 긷는 장치에서 유래한것으로 알려져 있다.

🖼️ 그림 힌트 : 한 개의 이미지와 한 줄 스토리로 이해해보자

💡 조합 사용 시 ‘핵심 의미’ 설명

는 조합사용시 ‘흐물거린것을 놓는 것’ 으로 핵심의미가 있다. ‘식물의 진액을 짜내는 모습’ 으로 표현했습니다.
특히 ‘나무껍질 벗기다’ 의미는 이후 ‘ 나무에 새기다, 기록하다‘ 는 의미로 확장됩니다.

◆ 스토리1: 흐물거림에서 짜내다 — ‘淥’, ‘綠’, ‘祿’
‘剝’의 핵심은 겉을 누르거나 갈라서 속을 짜내는 과정이다. 물질이 흐물거릴수록 걸러내기가 쉬워진다. 그래서 淥(밭을 록)은 흐린 물에서 맑은 액체만 걸러낸다. 綠(녹색)은 남은 본질의 색을 말하고, 祿(녹)은 짜내 얻는 보상과 재물이다.

◆ 스토리3: 새긴다, 기록한다 — ‘錄’, ‘碌’, ‘鹿’ , ‘剝’
‘剝’은 벗겨진 면에 무엇을 새기거나 남긴다. 錄은 역사의 기록이고, 剝은 벗겨진 표피 아래이다. 彔 자체가 이미 긁고 새기고 정리하는 행위를 담고 있으니, 기록은 곧 껍질을 벗겨 드러내고, 새기는 것이다.

🧩 참고할 부수,모양자

.
물 수 氺 의미전환 :물이 넘치다 (漫 질펀할 만)비회원 페이지 입니다

🔠 다양한 의미전환의 예시

의미 전환 1 : ( 흐물거리게 짜서 액체를 ) 받다
淥 밭을 록( 걸러서 액체만 받아 내다,물이 맑아지다. )
綠 푸를 록(녹)
祿 녹 록(녹)
碌 푸른 돌 록(녹)

의미 전환 2 : ( 흐물거리는 껍질,가죽) 벗기다.> 새겨서 기록하다, 벗기다.
錄 기록할 록(녹), 사실할 려(여)
剝 벗길 박 *가죽을 벗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