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칙 률 律

律 부수로 푸는 뜻

📜 기원과 의미

 법 률
 :  법률 , 규율 , 음악의 리듬         :   Law , Discipline , Rhythm           :   のり (nori)   りつ (ritsu), りち (richi) 
  :   lǜ       부수 :   彳두인변    :   彳 두인변 + 聿 붓 율  

🖼️ 그림 힌트 : 한 개의 이미지와 한 줄 스토리로 이해해보자

💡 한자 풀이와 핵심의미 설명

律(율) 자는 “선을 따라 움직인다”는 핵심 의미를 지니며, “정확한 선을 긋고, 그 선을 좁은 길에서 따라가는 사람들”의 모습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부수인 聿(율)은 손에 쥐고 무언가를 긋는 동작, 즉 “선 긋기”를 상징합니다. 여기에 彳(척)은 좁은 길을 줄지어 걷는 사람들의 모습을 나타내어, 결국 정해진 선에 맞춰 걸어가는 질서 있는 행위를 드러냅니다.

이는 “법”이나 “규율”처럼 정해진 기준에 따라 움직이는 체계의 본질을 잘 보여주는 글자입니다.
이 이미지를 바탕으로, 律(율)의 의미를 생활 속 이야기로 풀어보겠습니다.


◆ 스토리 1: 선을 그은, 좁은 길을 따라간다 → 규칙, 질서
좁은 길(彳) 위에, 손으로 긋는 정확한 선(聿)이 있습니다. 이 선은 경계이며, 동시에 “어디로 가야 할지”를 지시하는 지침입니다.
사람들은 이 선에 따라 움직이며, 서로 부딪히지 않기 위해 질서를 갖추게 됩니다.
→ 법의 체계 “法律(법률)”, 사회의 질서 “規律(규율)”로 이어집니다.

◆ 스토리 2: 선을 따라 흐르는 마음과 소리 → 음률, 계율
길뿐만 아니라, 소리에도 선이 있습니다. 음(音)이 흐르는 방향을 일정한 리듬으로 정해주는 기준이 바로 “律”입니다.
그 선에 굴곡이 있으면 감정이나 움직임도 거기에 맞춰 흔들리는 모습을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 “音律(음률)”, “自律(자율)”, “戒律(계율)” 같은 내적 기준을 뜻하게 됩니다.

🧩 참고할 부수,모양자

조금 걸을 척 彳 의미 전환 : 좁은길을 줄줄이 따라 걷다 (御 거느릴 어)비회원 페이지 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