붙을 점 粘

粘 쌀의 찰기

📜 기원과 의미

no result

🖼️ 그림 힌트 : 한 개의 이미지와 한 줄 스토리로 이해해보자

💡 한자 풀이와 핵심의미 설명

‘粘(점)’ 한자는 쌀(米)의 점성이 占(점복/점유)의 성질처럼 자리를 점하고 놓지 않는 粘 쌀의 찰기와 같은 특징에서 왔습니다.
즉, “쌀밥에서 생긴 끈기가 다른 곳에 달라붙어 굳어가는 모습”을 형상화한 글자입니다.
粘은 단순히 붙는 것이 아니라, 한번 붙으면 오래 지속되고, 심지어 사람의 마음이나 기억에도 끈적하게 남는 인상까지 전달합니다.

이 이미지를 바탕으로 몇 가지 생활 속 이야기로 粘(점) 한자를 풀어보겠습니다.

◆ 스토리 1 : 쌀처럼 끈끈하게 붙는 상태 → 점성, 끈기 → 粘稠, 粘液 , 粘着

◆ 스토리 2 : 끈끈하게 붙어 불쾌한 집착감 → 끈적거리는 인상 → 執粘

🧩 참고할 부수,모양자

.
점 점 占 의미전환 : 자리를 미리 차지하다 > 중심, 틀 ( 店 가게 점 )비회원 페이지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