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부수 ] 조금 걸을 척 彳

좁은 길로 다니는 彳(척) 한자의 사용

📜 기원과 의미

 조금 걸을 척
 : 조금 걷다, 나아가다, 길을 나서다        :  Step slightly, Go, Set out           :   いく (iku)  てき (teki) / ちゃく (chaku)
  :  chì       부수 :  彳 조금 걸을 척   :  의미부(彳 조금 걷다)  

그림한자공부

彳자는 ” 조금 걷다” 의미로 “사거리”를 뜻하는 行(다닐 행)자의 한쪽이다.

🖼️ 그림 힌트 : 한 개의 이미지와 한 줄 스토리로 이해해보자

조금 걸을 척 彳 : 막힌 좁은 길에 헤매다가 도달한다

💡 조합 사용 시 ‘핵심 의미’ 설명

彳(척)자는 “막힌 좁은 길에 헤매다가 도달한다.”가 핵심의미로 ‘여행객들이 관광지 구석구석을 좁은 길(徑)을 통해 가는 모습’ 으로 표현했습니다.

워낙 좁아서 사람들은 줄을 지어 가야하는데 앞사람을 따라가는 상황에서 ‘법(律),부역(役)’ 같은 의미전환이 있습니다.
또한, 구석구석 뚫려(徹)있어서 미세혈관 처럼 넓고(徧) 세세한 지역까지 영향력 파급(徧)을 생각해 볼수 있습니다.


이 이미지를 바탕으로 좁은 길로 다니는 彳(척) 한자의 사용을 풀어보겠습니다.

◆ 스토리 1. 좁은길을 줄줄이 따라 걷다 – 律
좁은 골목에서 줄을 서서 통과해야 하는 경험은 법과 질서의 상징이 된다. 御, 役, 律 같은 글자는 질서정연한 줄서기를 통해 공동체의 규범을 만들어낸다. 어쩔수 따라가니 ‘부역(役)’ 같은 의미확대도 있습니다.

◆ 스토리 2. 좁은길을 구석구석 헤매는 – 徘徊의 마음
좁은 골목에서 방향을 못 잡고彷徨(방황)하거나 徘徊(배회)하며 머뭇거리는 모습은 마음의 불안함을 담고 있다.

◆ 스토리 3. 좁은길을 구석구석 넓게 퍼지다 – 衍과 衒
좁았던 길로 모세혈관처럼 깊숙히 뻗어나가고 이는 확산과 전달의 의미로 전환되다. 徙(옮기다), 徧(두루 미치다)



🔠 다양한 의미전환의 예시

의미전환 1: 막힌 좁은길을 따라간다. > 따라간다 , 법, 무리
御 거느릴 어/막을 어, 맞을 아
役 부역 역 ( 일을 시키다 > 줄짓다 )
律 법칙 률
徒 무리 도
從 좇을 종

의미전환 2 : 막힌 좁은길에 아직도 있다. > 헤매다, 돌다, 다시 하다 , 천천히, 기다리다.
微 작을 미
彷 헤맬 방/비슷할 방
徘 어정거릴 배
徊 머뭇거릴 회
徇 돌 순 /徼 돌 요
循 돌 순 / 徨 헤맬 황
徐 천천히 할 서
待 기다릴 대
彿 비슷할 불 ( 흡사하다 > 방불[彷彿]케 하다 )
後 뒤 후

의미전환 3 : 좁은 길로 여기저기 가서 > 통하다, 얻다, 지름길
徹 통할 철
彼 저 피
得 얻을 득, 덕 덕
徂 갈 조, 겨냥할 저
徑 지름길 경/길 경

의미전환4 : 좁은 길로 여기저기 가다 > 구석구석 퍼트리다
衒 자랑할 현
徧 두루 미칠 편/치우칠 편
衍 넓을 연
徙 옮길 사/고을 이름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