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모양자]없을 무無

📜 기원과 의미

 없을 무
 :  없다 , 공허 , 무의미         :   None , Void , Meaningless           :   ない (nai)   む (mu) 
  :   wú       부수 :   火불 화    :   火 불 화   

그림한자공부

無자는 ‘없다,않다’ 의미로 쓰인다. 갑골문에 나온 無자는 양팔로 춤추는 사람 의 그림으로 알려져 있다.
주로 부정적인 의미로 사용되며 “無限” (무한)은 ‘끝이 없다’는 뜻을 의미합니다.

🖼️ 그림 힌트 : 한 개의 이미지와 한 줄 스토리로 이해해보자

💡 조합 사용 시 ‘핵심 의미’ 설명

無(없을 무)는 조합 사용시 ‘손을 움직여 거친부분을 없앤다’는 핵심 의미로 “거칠게 난 잡초를 손으로 부지런히 만지고 뽑는 모습“으로 표현했습니다.
특히, “卌”자의 반복된 이미지는 동적인 움직임을 만화적인 표현으로 강조한 것으로 해석할수 있습니다.

이 이미지를 바탕으로 몇 가지 생활 속 이야기로 無(무) 한자를 풀어보겠습니다.

◆ 스토리 1 : 거친 손동작 처럼 빠르게 움직이는 모습 → 霧와 舞의 길
빠른 손동작 처럼 안개가 사라지고, 춤사위가 흔들린다.

◆ 스토리 2 : 거친 손동작 처럼 퍼지는 것 → 廡, 蕪,
거친 것은 때로 집과 들을 무성하게 메운다.
또는 안개霧 처럼 퍼져 없어지는 모습이기도 하다. 無는 복잡한 것을 덮고, 황무지로 만들기도 한다.

◆ 스토리 3 : 손동작으로 거친것을 없앤다. → 撫摩
손으로 거친 것을 어루만지고, 닦아내며, 마침내 마음의 평온을 찾는다. 無는 다스림과 위로의 길이다.
손을 많이 움직여서 딱딱함을 없애주는 마사지(撫),저민 고기(膴) 의미가 있습니다.

🧩 참고할 부수,모양자

.
.

🔠 다양한 의미전환의 예시

의미 전환 1 : 거친것을 만져서 없애다. > 저민 고기, 애무하다.
膴 포 무/두터울 무, 등심 매 ( 저민 고기 > 두텁다 )
撫 어루만질 무, 본뜰 모 ( 누르다 > 쥐다 > 위로하다 > 순찰하다 ) * 撫摩 무마 ,*원래의미는 편안하다.
憮 어루만질 무 ( 애무하다 > 예쁘다 > 거칠다 ) * 망연자실한 모습
橅 법 모, 어루만질 무

의미 전환 2 : 만져서 흩트려 거칠어 진다. > 무성한, 거칠다. 복잡한
廡 집 무/무성할 무 ( 큰집 > 복도 > 무성하다 )
蕪 거칠 무 ( 거칠다 > 달아나다 > 황무지 )

의미 전환 3 : 만져서 흩트려 없애다. > 없다.
無 없을 무 ( 덮개 > 없다 > 아니다 > 하지 않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