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할 강 强, 強

강(强)의 갑골문은 활 弓과 묶은 모양에서 출발했으며, 강하게 당기거나 억누르는 힘을 뜻합니다. 초기에는 “활의 팽팽한 장력”에서 유래했으며, 점차 “굳세고 강한 성질”을 뜻하게 되었습니다. 강할 강 强 : 당겨(厶) 웅크리면(虫) 강한 탄성(弓)의 힘이 만들어진다. 强(강할 강)은 “당겨서 웅크리면 탄성의 강한 힘이 만들어진다.” 으로 표현했습다. 弓은 활과 같이 당기는 팽팽한 장력을 강조한것이고, 厶 팔을 당기는 모습을 강조한것이데, …
강할 강 强, 強 더보기

벨 작 斫

벨 작 斫 : 돌이 갈라지듯 도끼로 베다. 斫(벨 작)은 도끼(斤)를 들어 내려치는 모양으로 나타나며, ‘돌이 한꺼번에 갈라지며 깨지는 모습’을 비유를 통해 나무를 한번에 쪼개는 행위를 상징합니다. 여기서는 “돌이 도끼질에 한번에 갈라지는 모습“으로 표현했습니다.

클 석 碩

클 석 碩 : 돌(石)이 파면 머리(頁)부터 죽 내려가 매우 크다. 碩(클 석)은 형용사로 “크다”의 뜻, 명사로는 “학덕이 큰 선비”의 뜻으로 쓰였습니다. 頁(머리 혈)은 머리부터 몸체로 이어지는 흐름을 강조한 의미입니다. 따라서 “돌을 파면 돌의 머리부터 깊게 파묻혀 매우 크다” 로 표현했습니다. ① 돌이 크다 → 크다, 단단하다, 충실하다 → 碩大 석대② 돌을 파면 매우 깊고 …
클 석 碩 더보기

모래 사砂

모래 사 砂 :돌(石)을 갈아 모래를 뽑아(少)낸다. ‘砂(모래 사)’는 ‘모래’를 뜻하며 “돌을 갈아 모래를 만든다“로 표현했습니다.명사뿐 아니라 , 연마하다(磨砂)처럼 동사적 용법도 있다.또한 ‘사막(砂漠)’처럼 지형 명사에도 널리 사용되며, ‘금사(金砂)’처럼 비유적으로 작고 흩어진 것을 뜻하기도 한다.

푸를 벽 碧

푸를 벽 碧 : 호박(珀)보석 처럼 빛을 내는 옥(石)은 푸른빛이다. 碧(푸를 벽 ) 한자는 “옥(玉)의 푸른빛“을 의미하며 “호박의 투명한 빛을 비유하여 옥의 푸른빛을 나타낸것“으로 표현했습니다. 또는 ‘石(돌)’과 ‘白(빛)’ 계열 문자가 합쳐져, 빛나는 돌이나 옥의 이미지를 표현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맞이할 오俉

맞이할 오俉 : 사람(亻)을 만나, 이름을 부르며(口) 손(五)을 흔든다. 俉(맞이할 오)는 ‘吾(오)’가 이름을 외치거나 소리를 크게 내는 모습에 人(사람 인)이 더해져, “사람이 서로 이름을 부르며 손짓으로 신호하는 장면“으로 표현해 보았습니다.

벨 삼 芟

벨 삼 芟 : 낫을 다 휘둘러(殳) 풀(艹)을 베어 떨어트리는 모습 芟은 풀 초(艹)와 칠 수(殳)로 이루어집니다. 따라서 “낫을 휘둘러 풀을 베어내는 모습”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芟은 주로 동사로 쓰여 “베다, 제거하다”의 의미를 지닙니다.

필 발 發

필 발 發 : 한꺼번(殳)에 탄성(弓)의 힘이 발사(癶)시킨다. 發(필 발)은 發이 ‘활(弓)에 화살을 매겨 손으로 당기고, 곧 발사되는 모습’을 본뜬 것으로 풀이됩니다. “움직임과 에너지가 한순간에 밖으로 터져나가는 동작”을 강조합니다.여기서는 “탄성의 막대가 한꺼번에(殳) 힘이 밖으로 터져 나오는 모습“으로 표현했습니다. 활(弓)은 탄성으로 저장된 강한 힘을 암시합니다. 几으로 활이 구부러지면서 힘이 저장됨을 더 강조한 것입니다. 이 이미지를 바탕으로 …
필 발 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