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상할 조 吊 : 수건(巾)이 걸린 상가집에 문안(口)을 하다 吊(조문할 조) 한자는 상가집 입구에 수건(巾)이 걸려 있어, 방문객이 口로 조용히 조문(吊唁)하는 모습을 연상할 수 있습니다. 口는 조문을 상징합니다. 애도의 마음을 건네는 의도가 표현되어 있습니다.
[작성자:] Papyrus
아이 밸 신 㛛
아이 밸 신 㛛 : 임신은 아이를 맡아, 몸을 양보하는 것 ‘㛛’ 한자는 임신의 의미로 ‘아이를 맡아 보호하는 것’이라는 본질을 가진 단어이며, 身은 아이를 위해 자신의 몸을 양보하는 여인을 상징합니다.
사례할 사 謝
사례할 사 謝 : 몸을 숙이며, 감사하는 손과 말 謝 (사)자가 ‘감사의 말(言)과 몸을 굽히는 모습‘ 으로 표현할수 있습니다. 특히 寸(마디 촌)는 멀리 팔을 뻗어 물건을 주는 모습을 身(몸 신)은 몸을 굽혀 양보하는 모습을 강조합니다. 한자 ‘謝(사)’는 말과 몸짓을 통해 감사를 전하고, 사양하며, 물러남을 알리는 품격 있는 표현입니다. 그 속엔 진심과 예의가 담겨 있습니다.
몸 궁 躬
몸 궁 躬 : 활(弓)이 유연하듯, 자기 자신(身)을 굽힌다. 몸 궁 躬한자는 몸 신(身)과 활 궁(弓) 으로 이루어진 글자로 ‘ 활(弓)처럼 자기 자신 몸을 구부린다 ’ 의미가 있습니다.몸을 펼 수도 있고 굽힐 수도 있는 유연한 신체를 의미하기도 합니다. 또한, 유연하다는 가만히 두어도 스스로 움직이므로 ‘스스로’ 의미로 전환됩니다.
[한자 부수] 물 수水,氺,삼수변 수氵
水자는 시냇물과 빗방울이 떨어지는 모습을 표현하여 ‘물’을 나타냈습니다또는 물의 흐름을 세 갈래로 형상화한 상형문자입니다 삼수변 수氵: 물이 흘러 넘쳐 , 다른 것들을 덮다. 물(氵) 부수는 조합 사용 시 “물이 흘러 덮는다”는 핵심 의미를 가지며, 이는 곧 모든 것을 쓸어버리는 “홍수의 이미지”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이 이미지를 바탕으로 한 생활 속 스토리입니다. ◆ 스토리 1: …
[한자 부수] 물 수水,氺,삼수변 수氵 더보기
쏠 사 射
쏠 사 射 : 활이 늘어지게, 손으로 쭉당겨 쏜다. ‘射(사)’는 ‘쏘다/겨누다’는 핵심 의미로 사용됩니다.특히, 오른쪽의 身(몸 신)은 “활弋을 팽팽하게 당겨 휘어짐”을 표현하고 寸(촌)는 충분이 팔을 쭉 펴는 모습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특히, 활, 총, 주사 등 물리적 투사 (射手, 注射)로 사용됩니다.
서늘할 량 涼
서늘할 량 涼 : 물가의 시원한 바람이 들어가 서늘하다. 涼(량)은 ‘삼수변(水)’과 ‘京(서울 경)’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京’은 고지대의 누각이나 성 위를 나타냅니다.따라서 , “계곡물 위로 바람이 불어와 서늘한 기운이 퍼지는 정경”으로 표현했습니다.
깨끗할 결 潔
깨끗할 결 潔 : 선을 잘 묶고, 잘라내서 깔끔하게 한다. 潔(첨)한자는 “수렴과 집중” 의미전환이 있어 “선을 잘 묶고, 잘라내서 깔끔하게 한다.“상황으로 표현했습니다.糸는 불필요하게 여럿 연결과 그물과 대비되어 순수한 실 하나를 강조하고, 불필요한 선을 칼로 자르고 氵(수)는 물버리듯 버리는 모습을 강조한 것입니다. 예) 淸潔 청결 ,簡潔 간결, 純潔 순결, 潔白 결백
목마를 갈 渴
목마를 갈 渴 : 물방울 앞에 말라버린 얼굴로 앉아 간절한 모습 渴(갈)한자는 갑골문에서는 물이 없어서 마시려는 간절한 자세를 표현합니다 특히, 匃는 무릅을 꿇고 간절히 물을 바라는 모습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日은 자꾸 갈구하는 반복된 모습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찰 만 滿
찰 만 滿 : 꽉 차있고, 표면이 평평하다. 滿(만) 한자는 어떤 그릇이나 공간이 내용물로 ‘가득 찼다’ 핵심의미로 “물로 채워져 그릇의 윗면까지 평평해진 상태”로 이미지를 떠올릴 수 있습니다.예시) 저수지까지 滿水 상태가 되었다 ,계약서의 滿期일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