찌를 규 刲 : 뾰족뾰족(圭)한 것으로 자른다. 刲(규)한자는 칼로 베는 것으로 “뾰족뾰족한 돌칼로 자르는 모습”으로 표현했습니다. 특히 圭는 직관적으로 뾰족한 외곽을 상징하는 모습입니다.
[작성자:] Papyrus
칼 검 劍
칼 검 劍 : 끝을 모아(僉) 날카로운 칼(刂)
쪼갤 부 剖
쪼갤 부 剖 : 단단한(口) 것을 둘(立)로 나누는(刂) 모습 고대 갑골문에서 ‘剖’는 ‘손에 든 칼로 단단한 것을 정면으로 쪼개는 모습’에서 유래합니다.특히 立(입)는 칼로 자르는 상황을 버티는 모습을 강조한 것이며 , 口(구)는 원래 단단한 형태의 모양이 있었음을 암시합니다.먼저, 단단한 껍질이나 물체를 칼(刂)로 강하게 내리쳐 둘로 쪼개는 동작에서 안쪽 구조를 드러내는 의미확장이 되었습니다.이 이미지를 바탕으로 몇 가지 …
쪼갤 부 剖 더보기
나눌 반 班
나눌 반 班 : 구슬(王)로 된 목걸이를 칼(刀)로 나눔 班 자는 옥(玉, 구슬) 두 개 사이에 칼(刂) 을 넣은 형상으로 ‘구슬목걸이를 잘라내는 모습’으로 표현했습니다. ◆ 스토리 1: 구슬을 칼로 분할 → 나눔·분배화려하게 빛나던 구슬 목걸이(王과 玉의 의미)를, 칼(刀)이 반으로 나눈다. ◆ 스토리 2: 구슬을 나누어 다른 구성팀을 만들다. → 조직조직된 성격의 조각들 다른 역할과 임무를 수행하며 사회를 …
나눌 반 班 더보기
늙은이 모 耄
늙은이 모 耄 : 늙은이가 늘어진 털처럼 힘이없음 耄(늙은이 모) 한자는 늙음을 나타내는 老와, 흐트러지는 털 毛의 결합 으로‘늙어 몸과 마음이 풀어진 상태’를 상징합니다. 힘없이 늘어진 흰 머리카락이 바람에 흔들리는 듯한 장면을 떠올리게 합니다.따라서 신체의 쇠약 ,기억과 감각의 쇠퇴 의미전환이 있습니다.예) 老耄(노모): 늙고 힘이 없는 사람
꼬리 미 尾
꼬리 미 尾 : 몸 다음에 털이 달린 꼬리가 따라온다. 尾 (미)한자는 몸이 길게 이어지는 모습(尸)에 동물의 꼬리처럼 길게 나온 선(毛 형태의 점획)이 붙어 있는 그림이다.이 이미지를 바탕으로 몇 가지 생활 속 이야기로 尾 (미) 한자를 풀어보겠습니다. ◆ 스토리 1 : 몸 다음에 붙은 ‘털’ → 꼬리동물의 긴몸 뒤쪽은 몸 끝에 달린 ‘털’이 있다. ◆ …
꼬리 미 尾 더보기
眊 흐릴 모
眊 흐릴 모 – 눈앞이 흐릿해지는 모습 眊 흐릴 모 : 털이 힘이 없듯이 눈의 시력이 흐릿함. 眊 (흐릴 모)한자는 고대 자형에서 毛는 얇게 힘이 없어 흩어지는 털을 상징하며, 눈(目)의 시야가 흐릿해지는 의미를 강조합니다.
저 피 彼
彼 한자 뜻과 조합 원리 저 피 彼 : 몸체에서 찢어져(皮) 저쪽편으로 딸려(彳)간다. 저 피 彼는 皮자는 가죽을 한쪽에서 잡아당겨 찢는 모양으로, 彳는 사람들이 좁은길에서 촘촘 따라가는 모습을 의미하므로,彼자는 “가죽이 몸체와 분리되 다른쪽으로 줄줄이 딸려가는 상태”를 상징합니다. 이 이미지를 바탕으로 몇 가지 생활 속 이야기로 彼 한자 뜻과 조합 원리 풀어보겠습니다. ◆ 스토리 1. 가죽 …
저 피 彼 더보기
언덕 파 坡
언덕 파 坡 : 가죽 주름처럼 언덕이 펼쳐진다. 坡는 흙(土) 위에 펼쳐진 가죽(皮)의 모습에서 출발합니다. 坡는 ‘가죽처럼 표면의 주름처럼 펼쳐진 흙’이라는 뜻으로 표현했습니다. 경사면이나 언덕을 의미합니다. 언덕, 비탈, 경사 등의 뉘앙스를 가지며 지형 표현에 널리 사용됩니다. 波는 물이 일렁이는 파동을 나타내는 것을 참고해 볼 수 있다.
빨갈 위 煒
煒 빨갈 위 : 불 주위에 붉은 빛 煒(위)한자는 뜨겁게 달군 불(火)이 중심에서 시작되어, 주변(韋)으로 둥글게 빛이 퍼지는 모습을 형상화한 글자입니다.마치 쇠를 불에 달구면, 그 빛이 내부에서 퍼져나오며 붉은 빛무리를 형성하는 모습처럼, 煒는 안쪽의 뜨거움이 바깥으로 번지는 광휘를 상징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