햇빛 위 暐

햇빛 위 暐 : 가운데 빛이 둥글게 주변(韋) 퍼진다. 햇빛(日)이 둥글게 펼쳐진 가죽(韋) 위를 비추며 바깥으로 퍼지는 장면으로 해석합니다.즉, 햇빛이 ‘둘레를 감싸며 퍼진다’는 공간적 확산의 이미지를 담고 있습니다.‘햇빛이 퍼지다, 환하게 비추다’ 의미로 쓰이고 있습니다. 의미 전환 1 : 여럿을 모아서 > 최소화하다  > 감추다.斂 거둘 렴 ( 거두다 > 숨기다 >최소한 )殮 염할 렴 ( …
햇빛 위 暐 더보기

[한자 모양자] 착할 선 善 ### 아래에 글자 있다.

誩(말다툼할 경)과 羊(양 양)이 결합된 고대형태로, 후대에 善으로 통일된 한자이다. 착할 선 善 : 착함은 양털처럼 부드럽게 말하는 것이다. “善(선)” 한자는 조합 시 “부드럽게 만들다”를 핵심 의미로 하며, “착하다”, “잘하다”, “개선하다” 등의 뜻으로 사용됩니다. 구성 요소를 살펴보면,“羊(양)”은 고개를 숙인 채 부드러운 털결이 강조된 양의 모습을 나타냅니다.“口(입)”는 그 부드러움이 말로 표현된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艹(풀 초)”는 풀잎처럼 …
[한자 모양자] 착할 선 善 ### 아래에 글자 있다. 더보기

엿 당 糖

엿 당 糖 : 쌀(米)로 만들며, 손으로 저어(聿) 굳히는(口) 작업 ‘糖’은 단순명사로 사용되며, 보통 접두어나 접미어로서 ‘단 것’을 가리키는 한자입니다.특히 엿을 의미한 것으로 “쌀(米)로 만든 엿기름을 주걱으로 저어(聿) 굳힌 뒤, 오래 응고(口)시키는 모습”으로 표현했습니다.특히 米는 ‘끈적함’을 강조한 표현이고, 口는 식어서 단단히 굳은 이미지를 강조한 것입니다. 糖尿(당뇨) , 葡萄糖(포도당) 등 ‘끈적한 단맛’이나 ‘조리된 단맛’이 강조됩니다.

기쁠 희 喜

기쁠 희 喜: 북을 치며 노래를 부르며 기뻐한다 喜(희)는 고대 갑골문에서 喜 자는 아래와 같이 구성되었습니다. 口(입 구)는 ‘소리 내어 부르다’, 혹은 ‘노래하다’를 나타냅니다. 또한, 壴(북 주)는 북을 형상화한 것으로, 소리를 내는 악기입니다.이 이미지를 바탕으로 喜(희) 한자의 의미를 분류해 보겠습니다. ① 기쁨 표현 –> 감정의 표현으로서의 기쁨 –> 喜悅, 喜笑② 선호 및 애정 –> 좋아하거나 …
기쁠 희 喜 더보기

법칙 률 律

律 부수로 푸는 뜻 법칙 률 律 : 두줄(二) 사이로 줄줄이 따라가는(彳) 모습 律(율) 자는 “선을 따라 움직인다”는 핵심 의미를 지니며, “정확한 선을 긋고, 그 선을 좁은 길에서 따라가는 사람들”의 모습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부수인 聿(율)은 손에 쥐고 무언가를 긋는 동작, 즉 “선 긋기”를 상징합니다. 여기에 彳(척)은 좁은 길을 줄지어 걷는 사람들의 모습을 나타내어, 결국 …
법칙 률 律 더보기

펼 서 敍

펼 서 敍 의미와 한자풀이 펼 서 敍 : 펜으로 글을 쓰며, 내용이 펼쳐진다. ‘펴다’라는 의미를 담은 敍(서) 자는, “막대로 하나씩 세어 내용을 확인하고 정리한다”는 핵심 의미를 바탕으로 합니다.이 모습은 펜을 들고 과거의 일들을 정리해 글을 쓰는 작가의 모습으로도 표현할 수 있습니다.한편, 함께 등장하는 余(여) 자는, 과거의 실적이나 추억을 길게 늘어놓은 모습을 강조하며, 敍의 의미를 …
펼 서 敍 더보기

얻을 득 得

得(득)한자는 “도달하다 > 얻다 > 이득” 의미이다. 얻을 득 得 : 드러나(旦) 보이면 가서(彳) 얻는다(寸). ‘得’을 “좁은길(彳)과 손(寸), 그리고 해(旦)의 조합”으로 표현했습니다. 이는 새벽 해가 떠올라 시야가 밝아지고, 그 시야 안에 있는 것을 가서 손으로 잡아 얻는 행위를 형상화한 글자입니다. 彳은 좁은길 또는 지름길로 얻고자 하는 대상으로 빠르게 다가가는 모습을 강조한 것입니다. 이 이미지를 바탕으로 …
얻을 득 得 더보기

붙을 점 粘

粘 쌀의 찰기 쌀(米)의 점성이 붙어(占) 굳어진다. ‘粘(점)’ 한자는 쌀(米)의 점성이 占(점복/점유)의 성질처럼 자리를 점하고 놓지 않는 粘 쌀의 찰기와 같은 특징에서 왔습니다.즉, “쌀밥에서 생긴 끈기가 다른 곳에 달라붙어 굳어가는 모습”을 형상화한 글자입니다.粘은 단순히 붙는 것이 아니라, 한번 붙으면 오래 지속되고, 심지어 사람의 마음이나 기억에도 끈적하게 남는 인상까지 전달합니다. 이 이미지를 바탕으로 몇 가지 생활 …
붙을 점 粘 더보기

소금 로鹵

바닷물 옆(卜)에 굳어(口)생성되는 소금결정(𠂭) 卜의 점복은 바닷물의 경계를 강조한 것이고, 낮은 땅에 고인 바닷물이 점차 증발하여 口처럼 덩어리진 소금결정이 드러난다. 이곳이 바로 鹵田, 즉 소금밭이다. 이 이미지를 바탕으로 몇 가지 생활 속 이야기로 鹵(로) 한자를 풀어보겠습니다. ◆ 스토리 1: (바닷물) 옆 공간 – (소금 만드는) 소금밭“(바다물) 옆으로 생성하다” 의미로 卜의 점복은 바닷물의 경계 , 이곳이 …
소금 로鹵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