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계선을 지키는 마음이 貞이다 곧을 정貞 : 경계선에서 발생한 貞은 ‘卜(점 복)’과 ‘貝(조개 패)’의 조합으로, 껍질에 경계선을 따라 점을 치던 모양에서 유래합니다. 고대에는 점치는 껍데기(龜甲 혹은 貝)에 균열을 따라 의미를 해석했는데, 이 경계가 곧 바름(곧음)과 연결됩니다.예 ) 貞操, 貞節, 貞女 또한, 貞은 형용사나 명사적 쓰임으로 “곧다”, “정조” 등의 의미로 활용되며, 서술적・수식적 용법이 많습니다.
[작성자:] Papyrus
점 점 點,점 점点
點(점 점, 시들 다) 점. 흠, 얼룩 ,지시하다 ,따르다 * ‘작은 검은 점’ 으로 흠이라는 의미이다.点 (점 점) 점. 흠, 얼룩 , 측면, 물방울 * 點의 현대 간체자 점 점点 : 옆에 자리잡은 흠,얼룩,시듬이 있다 점 점点 한자는 작은 불꽃처럼 번지는 얼룩이나, 표시를 찍는 행위로 설명되어 지곤 했습니다. 맺혀있는 물방울, 다 익은 과일이 떨어지려는 상황과 …
점 점 點,점 점点 더보기
나무 껍질 박 朴
나무 껍질 박 朴 : 투박한 나무껍질이 옆에 달려있다. 朴(박)한자는 “투박한 나무껍질” 핵심의미로 나무의 본체(木)에 붙어 있는 껍질(卜)을 형상화한 글자로, 껍질이 단단한 몸통 옆에 자연스럽게 ‘붙어 있는’ 상태에서 출발합니다.나무껍질을 완전히 벗기지 않은 ‘가공되지 않은 상태’, ‘있는 그대로의’, ‘순박한’ 의미로 사용됩니다. 속마음이 드러나지 않은 투박함을 연상시켜 성격이 꾸밈없고 투박한 사람을 가리킬 때 쓰이기도 합니다. 예) 素朴 …
나무 껍질 박 朴 더보기
더할 첨, 젖을 점 沾 , 젖을 점 霑
沾은 주체와 대상 사이에 스며들다, 영향을 받다, 관련되다의 뉘앙스로 사용됩니다. 沾 : 마른(口) 가장자리(卜)가 물(氵)에 젖어드는 모습 沾은 ‘水(물)’이 한 쪽에서 시작되어, 마른 부분(口+卜)을 향해 번져 들어가는 형상입니다.卜은 가장자리를 의미하는 선이며, 口는 빈 공간 또는 틈입니다. ” 물이 마른 틈새로 스며들면서 그 자리를 점차 ‘차지’하는 모습” 으로 표현했습니다.물이 마른 틈을 파고들어 자기 자리를 확보하는 모습으로 …
더할 첨, 젖을 점 沾 , 젖을 점 霑 더보기
[한자 모양자] 점령할 점,점칠 점 占
한자 占은 동사로 ‘차지하다’, ‘점하다’처럼 사용되며, 명사화된 단어로는 占有(점유) 등 ‘소유’, ‘비율’ 개념에 자주 쓰입니다.예: “전체의 절반을 占했다.” → 주어가 어떤 대상을 비율로 선점했음을 표현. 占 : (발생할 듯한) 경계선에서 자리잡고 기다린다 占은 명사로는 ‘점’(占卜), 동사로는 ‘차지하다’(占據), ‘예측하다’(占測), ‘장악하다’(占有)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됩니다. “미리 자리를 차지하다” 핵심의미로 “감나무에서 감이 떨어질 것을 예측하고 자리를 차지한 바구니 또는 …
[한자 모양자] 점령할 점,점칠 점 占 더보기
독 독 毒
독 독 毒 : 해로운 독()에 주저앉아(母) 아퍼하는 모습 “毒(독)” 자는 원래 식물이나 약초에서 추출한 “해로운 성분”을 뜻하며, 점차 “해를 끼치는 행위”나 “상처 주는 말”까지 의미가 확장된 글자입니다. 구성 요소인 龶는 “풀에서 즙을 짜내다”는 뜻으로, 이 즙이 해로운 독이 될 수 있음을 암시합니다. 母(모)는 고대 문자에서 “몸을 구부리고 웅크린 사람”의 모습으로, 여기서는 “고통에 주저앉은 모습”을 …
독 독 毒 더보기
[한자 모양자] 매양 매 每
매양 매 每 기원과 의미 한자 每는 每日(매일), 每次(매차)와 같이 ‘매번, 모든, 각각’이라는 뜻으로 시간적 반복성뿐만 아니라 개별적인 존재를 강조하는 의미로도 쓰입니다.갑골문에서는 여성과 비녀(笄) 으로 설명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매양 매 每 : 몸을 숙여(母) 그때그때 대응(𠂉) 한다. 한자 每는 고대 문자에서도 “몸을 낮추고 반응하는 자세”를 담고 있으며, 母(어미 모)의 기본 형태 위에 𠂉가 더해져 있습니다. …
[한자 모양자] 매양 매 每 더보기
떨릴 긍 兢
두려움과 조심성의 상징 ‘兢’자 떨릴 긍 兢 : 몸이 굳고 떨려 둘로 보인다. 두려움과 조심성의 상징 ‘兢’자 은 두려워하며 ‘조심스럽게 행동하다’라는 뜻을 가진 글자로, 갑골문에서는 두사람이 서로 걱정하는 모습으로도 해석도 있습니다. 한자요소중 이길 극(克)에서 十은 굳을 고(固)에서 처럼 사람몸이 굳을 정도 아주 힘든 상황을 암시하며 큰 입(口)에서 나오는 고통스러운 소리 , 간신히 버티고 있는 두다리(儿) …
떨릴 긍 兢 더보기
이길 극 克
극복하다를 상징하는 克 한자 이길 극 克 : 오래( 古 ) 버텨 서있어(儿) 고통을 이겨내다 극복하다를 상징하는 克 한자로 ‘이기다, 극복하다’의 뜻으로 고통과 난관을 견디는 의지를 담고 있습니다. 이길 극(克)에서 十은 굳을 고(固)에서 처럼 사람몸이 굳을 정도 아주 힘든 상황을 암시하며 큰 입(口)에서 나오는 고통스러운 소리 , 간신히 버티고 있는 두다리(儿) 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넓은 …
이길 극 克 더보기
[한자 부수]점 복 卜
卜 복자의 의미와 상징 卜(복)은 금이 간 틈, 벌어진 갈라짐을 나타내며 ‘갈라진 틈’이나 ‘징조를 보다’의 의미로 발전합니다.원래는 거북 껍질 등을 갈라 불길·길흉을 점치던 모양에서 유래한 글자입니다. 이후 ‘금이 간 모양’, ‘결단’, ‘틈의 발생’을 나타내는 부수로 확장됬습니다. 卜 : 경계선에서 붙어 기다리다. 금이 간 틈을 상징하는 卜(복)자는 조합 사용 시 “경계선에서 붙어 기다리다”는 것이 핵심 의미입니다. …
[한자 부수]점 복 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