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금 군 君

임금 군 君 : 지휘봉을 들고(尹) 명령(口)하는 장군  君(군)은 “임금, 통치자, 존칭” 등의 뜻을 가진 것으로 명령을 내리는 통치자의 모습에서 유래한 것입니다.예시) 君主(군주) ,君子(군자) ‘君(군)’ 한자는 ‘尹(지휘봉을 든 손)’과 ‘口(말, 명령)’의 결합으로, “지휘봉을 든 장군이 명령을 내리는 모습”에서 비롯되었습니다.점차 존칭이 되어 “당신”, “그대”로도 쓰이며, 마지막에는 품격을 갖춘 사람을 가리키는 ‘군자(君子)’ 라는 말까지 발전했습니다.

[한자 모양자] 옳을 가 可

한자 可 의미 해석 ‘可’는  ‘넉넉히 > 허락하다 > 옳을 가 > 어느 정도’ 의미 전환으로  긍정 의미 단어와 결합하여 사용한다. * 可能性 가능성, 許可 허가 옳을 가 可 : 살짝 굽히고(丁), 상태를 말해(口)주다. 한자 可(가)는 “옳다, 허락하다”는 의미로 많이 쓰이지만, 갑골문에서는 짐을 지고 가는 사람의 모습을 형상화한 글자입니다.丁(정)은 짐을 짊어진 채, 몸을 살짝 굽히고 버티는 모습이며, 그 앞에서 …
[한자 모양자] 옳을 가 可 더보기

[한자 모양자] 골 곡,곡식 곡 谷

생활 속 이야기로 谷(곡)한자를 풀이 골 곡 谷 : 틈새(八)를 만들어 점차(人) 모양(口)을 만든다. ‘골짜기’를 뜻하는 谷(곡) 자는 조합하여 사용할 때 “틈새를 통해 모양을 만든다”는 핵심 의미를 지닙니다.谷자는 ‘골짜기’를 뜻하고 八 자는 물의 힘으로 땅을 파내는 과정을 표현한 것이다.아래쪽 口(입 구)는 오랜시간 물의 흐름으로 만들어진 모양임을 형상화 한것이다. 이 이미지를 바탕으로 몇 가지 생활 속 …
[한자 모양자] 골 곡,곡식 곡 谷 더보기

은혜 은 恩

은혜 은 恩 : 주위(囗)도움에 펼쳐지는 마음 (心) 恩 (은혜 은)은 보통 감사, 자비 의미로 많이 쓰입니다. ‘주위 도움에 펼쳐지는 진심의 마음 ‘을 ‘구덩이에 빠져나오며 도움 받는 소년의 진심어린 표정’으로 표현했습니다.‘因(인)’은 주어진 범위, 환경에(囗 에워쌀 위)에 대응돼 펼치는(大) 마음(心)을 나타냅니다. 이 둘이 합쳐져 ” 자연스럽게 밖으로 표현되는 진심 어린 마음”이 됩니다. ✔ 은혜/감사 – 가득 …
은혜 은 恩 더보기

조짐 기,몇 기 幾

몇 기 幾자의 구성과 의미 분석 몇 기 幾 : 실(糹)을 짜기(戈)위해 숙여서(人) 살펴본다. ‘얼마’를 의미하는 ‘幾’의 한자 구성은 𢆶(미세한 것) + 戍(창들고 지키는 모습) 입니다. 대표이미지는 ‘ 찌르기,끼우기 기회 위해 지켜본다‘ 핵심의미로 표현했습니다. 이 이미지를 바탕으로 몇 기 幾자의 구성과 의미 분석을 풀어보겠습니다. 스토리 1 : 베틀에 몸을 기울려 얼마을 확인한다. → 얼마 ‘몸을 …
조짐 기,몇 기 幾 더보기

판 국 局

촉박함을 이겨내는 局의 뜻 尺은 사람 손의 길이를 기준으로 한 단위로 十寸(십촌) = 1尺(척)입니다. 예를 들어 尺子(척자)는 길이를 재는 도구입니다.입구口(구)는 “제한된 공간”이라는 뜻으로, 말(尺)이 있는 네모난(口) 장기판으로 해석되기도 합니다. 판 국 局 : 말(尺)이 있는 제한된공간에(口) 몰린 상황 局(국)의 본래 의미는 좁고 구속된 상태로 속 의미를 유추하면 ‘상황에 따른 촉박함’입니다.말(尺)이 있는 네모난 공간(口) 으로 ‘바둑판’, …
판 국 局 더보기

한가지 동同

한정된 입구을 의미하는 同의 뜻 한자 “同” (동)은 ‘같다,같이’를 의미로 쓰인다. 同자는 凡 모든것이 口 출구 하나로 나오는 모습이다. ‘모두’의 의미가 함께하는 뜻으로 만들어졌다 한가지 동同 : 끝모양(冂)대로 일정하게(一) 입구,출구(口)로 나온다 同(같을 동) 자는 조합하여 사용될 때 “입구가 길게 이어지는”라는 핵심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압출기처럼 하나의 출구를 통해 모든 것이 나오는 모습”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
한가지 동同 더보기

방패 순 盾

방패 순 盾 한자의 조합과 의미 전환 한자 盾 (방패 순)은 방패를 본뜬 상형 문자로 후대에 “人(사람) “이 추가되어 주로 방어와 관련된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盾(순) :방패(目)를 세워(十) 여기 저기(𠂆) 공격을 막는 방패 盾을 조합해서 사용 시에는 “나무판을 여기저기로” 의미로 “나무판 방패를 여지저기를 막아서 수비하는 모습” 으로 표현했습니다.目(목)는 나무판을 촘촘하게 만든 모습을 강한 것이고, 𠂆(예)은 …
방패 순 盾 더보기

[ 한자 부수 ] 조금 걸을 척 彳

좁은 길로 다니는 彳(척) 한자의 사용 彳자는 ” 조금 걷다” 의미로 “사거리”를 뜻하는 行(다닐 행)자의 한쪽이다. 조금 걸을 척 彳 : 막힌 좁은 길에 헤매다가 도달한다 彳(척)자는 “막힌 좁은 길에 헤매다가 도달한다.”가 핵심의미로 ‘여행객들이 관광지 구석구석을 좁은 길(徑)을 통해 가는 모습’ 으로 표현했습니다. 워낙 좁아서 사람들은 줄을 지어 가야하는데 앞사람을 따라가는 상황에서 ‘법(律),부역(役)’ 같은 의미전환이 …
[ 한자 부수 ] 조금 걸을 척 彳 더보기

회복할 복, 다시 부 復 , 회복할 복 复

생활 속 이야기로 復(복) 한자 풀이 회복할 복 復 : (복잡했던) 길(彳)을 때가되어(日) 되돌아 온다.(夂) 復(복) 한자는 “彳”(조금 걸을 척)과 “复”(뒤쫓아 가다)로 구성되었습니다. ‘복잡한 길에서 헤매다 잘 돌아오다’로 표현했습니다.彳(척)으로 복잡한 경로를 강조하여 ‘한때 좀 어려운 상황’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复(복)으로 다시 도전하는 이미지로 이 이미지를 바탕으로 몇 가지 생활 속 이야기로 復(복) 한자 풀이를 해보겠습니다. …
회복할 복, 다시 부 復 , 회복할 복 复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