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리 성 聲 : 악기(声)를 막(殳)로 치는 소리를 귀(耳)로 듣는 모습 聲(소리 성)한자는 악기(声)를 치는 손(殳)과 귀(耳)의 결합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도구로 소리를 내고, 그것을 귀로 듣는다”는 직관적 글자입니다.
[작성자:] Papyrus
목구멍 인 咽
목구멍 인 咽 : 목구멍은 큰(大) 음식을 조여서(囗) 넘기는 기능이다. 咽(목구멍 인) 은 입(口)과 에워싸는 형태(囗), 그리고 크게(大) 삼키는 모양이 결합된 것으로 보입니다. 즉, “큰 것을 입에서 목구멍으로 조이며 넘기는 동작”으로 표현했습니다. 목구멍이 조여 막히는 장면을 묘사한 것이라 설명하기도 합니다. ① 조여 삼키다 → 목구멍, 인후 / 음식 삼키다 / 목에 막히다 → 咽喉(인후) ② …
목구멍 인 咽 더보기
둥글 단 團
둥글 단 團 : 둥글게(囗) 실패(叀) 뭉치는 손(寸) 모양 團(둥글 단)자는 고대 문자에서 ‘囗(에워싸다)’ 안에 叀(실을 감은 실패 모양)과 寸(손)이 결합된 형상입니다. 따라서 “손으로 실꾸러미를 둥글게 감아 뭉치는 모습” 으로 표현했습니다.
헐 훼 毀
헐 훼 毀 :절구(臼)안 골고루 쳐서(殳) 흙가루(土)처럼 만드는 모습 毀(헐 훼)한자는 臼(절구)에 殳(몽둥이/도구)로 치는 모습으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본래는 절구에 넣은 곡식이나 흙덩이로 부수어 土(흙) 가루를 만드는 행위에서 출발했고, 이후 무너뜨리다, 부수다의 의미로 확장되었습니다. 절구 안에 잘게 부수는 이미지는 비유적 용법으로 “비방하다”의 의미 확장되기도 합니다. 예) 毀謗 훼방 ,貶毀 폄훼
돌아올 회 回
돌아올 회 回 : 주변을 도는 모습 回 자는 사방을 둘러싼 테두리 안에서, 안쪽에 또 하나의 구획이 있는 모습으로, ‘물이 세면대에 둘러싸여 다시 안으로 되돌아오는 모습’으로 표현했습니다. 이는 “돌다, 돌아오다”의 원초적 의미를 잘 보여줍니다. 이 이미지를 바탕으로 回(회) 한자의 대표적 의미를 풀어보겠습니다. ① 물이 테두리를 한바퀴 돌다. → 되돌아옴과 순환 → 回歸(회귀)② 물이 한바퀴 돌아 …
돌아올 회 回 더보기
넓힐 척,박을 탁 拓
넓힐 척 拓 : 손(扌)으로 돌(石)을 치워 땅을 넓힌다. 拓자는 본래 손(手)과 돌(石)을 함께 그려 넣어, 돌을 밀어내 땅을 개척하는 모습에서 비롯된 글자입니다. 돌을 두드리거나 밀어내는 행위로 나타나며, 이후 땅을 넓히거나 길을 열어 나가는 의미로 발전했습니다. 이 이미지를 바탕으로 拓(척) 한자의 대표적 의미를 풀어보겠습니다.① 돌을 손으로 밀어 → 넓히다, 개척하다, 확장하다, 크게 하다 → 開拓(개척) …
넓힐 척,박을 탁 拓 더보기
작을 미 微
작을 미 微 : 머리카락처럼 좁은길을 가듯(彳) 작은공간(几), 끝(山)을 다듬다(攵) 微(작을 미)한자는 작고 미세한 흔적을 나타내는 글자 형태 좁은 길(彳)과 작은 받침(几), 산(山)의 끝자락이 겹쳐져, 눈에 잘 띄지 않고 미묘한 흔적을 나타내는 의미로 발전했습니다. “머리카락을 빗듯이 작은 틈과 끝을 가진 빗으로 쓸어내려 미세한 차이를 만드는 모습“으로 표현했습니다. ‘微’는 형용사로 “작다, 미세하다” 뜻에서 “희미하다, 약하다”로 확장됩니다. …
작을 미 微 더보기
다를 차 差
差는 원래 곡식을 비벼 껍질을 벗기는 동작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다를 차 差 : 털(羊)을 깍으면(工) 안깍은 부분과 차이가 있다. 差(다를 차)한자는 羊(양)과 工(일할 공) 조합이 나타납니다. “양털을 깎을 때 깎인 부분과 그대로 둔 부분의 차이“로 표현했습니다. 즉, 양털이라는 추가적인 모습을 제거하여 비교하는 ‘차이·어긋남’ 의미를 설명합니다. 특히, 工 한자는 한쪽으로 이동시키는 도구를 상징하고 있습니다. 이 이미지를 …
다를 차 差 더보기
푸른 돌 녹 碌
푸른 돌 녹 碌 : 풀을 짜낸(彔) 푸른 빛 같은 돌(石) 碌(녹)의 구성 요소는 石(돌)과 彔(록)은 나무 껍질을 벗기거나 풀을 짜내는 도구의 형상에서 비롯되며, ‘짜내다·베다’의 뜻을 담습니다.따라서 碌은 “풀을 짜낸 듯이 드러난 푸른빛의 돌”이라는 상형적 의미를 가집니다.또한, 후에 무능하고 용렬한 모습을 뜻하게 된 한자입니다.
자석 자 磁
자석 자 磁 : 자성을 가진 돌(石) 아래 줄(兹)이 매달리듯 달라붙는다. 磁(자석 자)는 石(돌)과 兹(여럿 모여 이어짐)이 각각 사용되었습니다. 石은 “단단히 굳은 것”의 뜻이 兹의 ‘풀 줄기와 실’이 겹겹이 이어져 번성하는 모양과 합해 “여럿 모여 있음, 이어짐”을 뜻합니다. ‘자석에 줄처럼 매달린 모습‘ 으로 표현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