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랑할 현 衒

자랑할 현 衒 : 줄(幺)로 꺼낸 상품을 사람(行)들에게 판다. 衒(자랑할 현)은 “가는 줄에 매단 물건을 길에서 보이며 드러내는 모습” 으로 풀이됩니다.즉, 작은 줄에서 꺼낸 것을 사람들 앞에 드러내어 자랑하거나 팔아넘기는 장면이 담겨 있는 글자입니다.

가죽 피 皮

가죽 피 皮 : 가죽을 당겨서 , 주름생긴다. 가죽 의미의 皮(피)한자는 조합사용시에는 “주름이 생기다” 핵심의미로 “가죽처럼 당기거나 밀면 주름이 생기는 모습”으로 표현했습니다. 이 이미지를 바탕으로 皮(피) 한자의 대표적 의미를 풀어보겠습니다. ◆ 스토리 1. 가죽을 당겨 한쪽으로 → 편파적이다 , 옷을 입다. → 頗(치우침), 被(입을 피) ◆ 스토리 2. 가죽이 당겨 찢어진다. → 찢다 → 破 …
가죽 피 皮 더보기

입을 피 被

입을 피 被 : 옷을 입을때 강제로 당기는 주름(皮)이 생긴다. 被(입을 피)는 옷 衣(옷감)와 가죽 皮(겉껍질)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특히 , 皮의 주름을 당기는 의미가 있어 옷자락이 당겨지듯, 어떤 외부 작용을 받는 상황을 비유합니다. 그래서 피해를 입다, 영향을 당하다라는 뜻이 생깁니다.被는 ‘~에 의해’라는 구조로, 옷이 당겨져서 억지로 끌려가는 것처럼, 주체가 아닌 받는 쪽을 강조하는 문법적 특징이 …
입을 피 被 더보기

자못 파 頗

자못 파 頗 : 한쪽으로 주름을 당겨 편파적이다. 頗는 머리(頁)를 뜻하는 部首와 “皮(가죽·주름)”가 합쳐진 글자로, “머리나 얼굴 한쪽이 치우쳐 주름이 잡히게 잡아당겨(皮) 편향된 모습과 같다” 으로 표현했습니다. 또한, 주로 부사로 쓰여 “상당히, 자못, 매우”라는 의미로 문장을 강조합니다. 예: 頗有心得 (자못 소득이 있다)

굽어볼 감 瞰

굽어볼 감 瞰 : (위협이 안되는) 막대(攵)에 호랑이(耳)가 굽어본다. 瞰(굽어볼 감)은 호랑이가 눈으로 아래를 굽어보는 모습에서 비롯된 글자로 해석됩니다.丅(아래 하) + 耳(귀 이) 는 호랑이 줄무늬와 이빨을 상징하는것으로 , 攵(복)으로 맹수에 대한 무모한 공격을 암시합니다. 이 이미지를 바탕으로 瞰(감) 한자의 대표적 의미를 풀어보겠습니다. ① 호랑이의 눈은 위에서 아래를 본다. → 굽어보다 → 부감(俯瞰) 鳥瞰圖(조감도)② 호랑이의 눈안 …
굽어볼 감 瞰 더보기

그림 도 圖

그림 도 圖 : 성(口)과 창고(亠)에 대한 지리적 그림(囗)으로 계획을 한다. 圖(그림 도)한자는圖(도)는 성 안의 창고를 표시한 그림에서 비롯되어, 지도·그림뿐 아니라 계획과 도모, 이상까지 확장된 한자입니다.圖는 명사로는 ‘그림, 지도’, 동사로는 ‘도모하다, 꾀하다’ 두 가지 주요 문법적 역할을 가집니다. 따라서 , “囗(그림) 안에 성(口)과 창고(亠)를 그리며 계획을 짜는 모습” 를 넣은 형태로 표현했습니다. ① 그림과 문서 …
그림 도 圖 더보기

셈 산 算

셈 산 算 :대나무 막대로 셈을 하는 두손(卄) 算(셈 산)한자는 여러 대나무 막대를 가지런히 세워 둔 모양이며 , 점괘를 셀 때 사용된 산목(算木)의 형상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대나무 막대로 셈을 하는 두 손“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가둘 수 囚

가둘 수 囚 : 담장에 가둔 모습 囚(가둘 수)는 囗(둘레)와 人(사람)으로 구성되어, “사람을 담장 안에 가두다”로 풀이합니다.갑골문에서도 囚는 사람(人)이 울타리나 성곽(囗) 안에 들어가 있는 형상으로 나타납니다. 즉, 원래부터 포로·죄수를 의미하는 글자였음을 알 수 있습니다.

[한자 부수] 눈 목目

目(목)은 사람의 눈을 본뜬 상형문자로, ‘가까운 대상을 보는 기관’으로서 ‘가까움’, ‘면밀한 주시’ 등의 의미를 담습니다. 초기에는 가로로 그려졌으나, 후에 세로로 변형되었습니다. ‘目’ 자체가 부수로 사용되며, 시각과 관련된 한자(예: 見, 眼, 眠 등)의 구성 요소로 활용됩니다. 예시 ) 目撃(목격) , 注目(주목) , 目標(목표), 注目(주목), 目前(목전) 눈 목目 : (위아래 눈꺼풀 사이만큼) 가깝게 하려는 모습 目(목) 자는 …
[한자 부수] 눈 목目 더보기

피곤할 피 疲

피곤할 피 疲 : 병환에 주름(皮)이 진 모습이 피곤하다. 疲(피곤할 피)는 疒 병들어 누운 모습과 皮 가죽, 주름진 모습으로 이루어진 글자입니다. 피부가 축 늘어지고 주름진 모습으로 병약한 상태로 설명해 볼 수 있습니다. 예시) 疲労, 疲困 (몸의 에너지 소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