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바지할 공 供 : 몸을 굽혀 두손으로 이바지한다. 供(이바지할 공)은 구성 요소인 人(사람) 과 共(함께, 두손 모아 받침)으로, 제사 때 음식을 올리거나 물건을 받쳐 드리는 모습으로 해석됩니다.특히, 亻은 허리를 굽힌 사람의 모습을 암시합니다. 이 이미지를 바탕으로 供(공) 한자의 대표적 의미를 풀어보겠습니다. ① 두손으로 바치다 → 이바지·봉헌 의미 → (例: 供養, 供奉) ② 두손으로 준비해 주는 …
이바지할 공 供 더보기
[작성자:] Papyrus
눈 안 眼
눈 안 眼 : 눈(目)은 안에서(艮)에 밖을 보는 구멍과 같다. 眼(눈 안)은 한쪽으로 불거져 나온 눈알의 형태를 본떠, 눈동자가 안쪽에 들어있으면서 바깥을 응시하는 모습을 형상화했다고 합니다. 즉, 눈의 ‘끝(艮)’에 동그랗게 맺힌 안구를 표현한 상형자입니다. 특히 , 艮은 끝에 가까이 하는 모습을 강조한 것입니다. ‘안쪽에서 앉아 구멍을 통해 밖을 호기심으로 바라보는 모습’으로 표현했습니다. 이 이미지를 바탕으로 …
눈 안 眼 더보기
[한자 부수] 클 보, 채마밭 포 甫
甫(보) 한자는 갑골문에는 田(밭)+屮(싹) 으로 채마밭(가정용가든)을 의미하는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밭, 처음, 시작, 도움’ 의미로 사용됩니다. 클 보甫 : 밭길을 따라 넓게 퍼지기 위해 , 도움이 있다. ‘크다’ 의미의 甫(보)한자가 조합사용시에는 ‘퍼지기 위한 도움이 있다‘ 핵심의미를 가지고 있어, ‘덩굴이 구조물 같은 밭길을 타고 퍼지도록 돕는 모습’으로 표현했습니다. 특히 用(용)이라는 글자는 우리가 일상에서 많이 보는 ‘밭 길’ 을 …
[한자 부수] 클 보, 채마밭 포 甫 더보기
붙을 착 , 나타날 거 着
붙을 착 着 : 눈(目) 바로 앞으로 양털(羊)옷을 입거나 쓴다. 着(붙을 착)은 본래 ‘羊(양털옷)과 目(눈)’의 결합으로, 눈앞에 옷을 걸치거나 덮는 행위를 나타냅니다. ‘가까이 붙여 몸에 닿다’가 핵심의미입니다. “눈 가까이 양털옷의 미세한 촉감을 느끼는 모습“으로 표현했습니다. 특히, 目한자는 ‘눈앞으로 하듯 가까이 하다’ 의미를 강조한 것이다. 羊은 양털처럼 외형적 과시를 강조합니다.이후 의미가 확대되어 ‘입다, 쓰다, 신다’뿐 아니라, …
붙을 착 , 나타날 거 着 더보기
갖출 구 具
갖출 구 具 : 각종(八) 요리 도구를 쌓아(且)를 갖추고 있다. 具는 甲骨에서는 두 손으로 솥(鼎)을 받쳐 드는 모습으로 해석됩니다. 여기서는 ” 여러 그릇(且)을 늘어놓은 모습”으로 표현했습니다. 특히 뒤에 ‘八’을 더해 ‘각종의, 여러 가지’라는 의미를 설명할 수 있습니다. 이 이미지를 바탕으로 具(구) 한자의 대표적 의미를 풀어보겠습니다. ① 갖추다·온전하다 → 구비하다, 모두 포함하다, 완전하다 → 具備, 具足 …
갖출 구 具 더보기
[한자 모양자] 함께 공 共
共자는 두 손(廾)을 함께 모아 무언가를 받쳐 들거나 , 나누는 모습을 형상화한 것으로, 후대에는 ‘함께하다, 공유하다’ 등의 개념으로 확장되었습니다.예시) 共同(공동) , 共存(공존) 함께 공 共 : 여러 손으로() 나누어(八) 들다 共 (함께 공) 조합사용시 “손으로 함께 나누어 든다”로 “두 손을 맞잡아 들어올리는 모습”으로 표현했습니다.여럿이 손으로 받치는 동작은 협력·공동의 의미로 확장됩니다. 이 이미지를 바탕으로 共의 대표적 …
[한자 모양자] 함께 공 共 더보기
펼 포,가게 포 鋪
가게 포 鋪 : 쇠(金)를 펴듯(甫), 평상에 물건을 펴 놓은 곳. 鋪(가게 포)를 펴다, 펼치다 의 뜻과 연결하여 해석합니다. 본래의 구성은 金(쇠, 금속) + 甫(펼치다, 기본 바탕) 입니다. 즉, 금속을 두드려 펴는 모습에서 출발하여, “바탕 위에 펼쳐 놓음”이라는 뜻으로 확장되었습니다. 이 이미지를 바탕으로 鋪(포) 한자의 대표적 의미를 풀어보겠습니다. ① 쇠를 펴서 두루 펼침 → 펴다, …
펼 포,가게 포 鋪 더보기
노려볼 탐 眈
노려볼 탐 眈 : 머리를 살짝 내밀고, 눈으로 먹이를 노리는 모습 眈(노려볼 탐)은 目(눈 목)과 冘(머리를 내밀다, 머뭇거리다)가 합쳐져 만들어진 글자입니다. 갑골문에서는 눈을 크게 뜨고, 머리를 내밀며 상황을 주시하는 형상으로 보며, 특히 범이 먹이를 노려보는 모양을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화목할 목 睦
화목할 목 睦 : 눈(目)을 보고 붙어(坴) 있어 화목하다. 睦 (화목할 목)한자는 “눈을 가까이 해 화목한 모습” 의미있어 ” 붙어있는 언덕처럼 두 사람이 눈을 마주하는 모습 ” 으로 표현했습니다.
옷기울 보 補
옷기울 보 補 : 옷을 기워 다른것으로 보충한다. 補(옷기울 보)한자는 衣(옷 의)와 甫(도울 보)가 합쳐진 글자입니다. 옷을 덧대어 기워 부족한 것을 보충하는 행위에서 ‘補’의 원의미가 형성된 것입니다. 특히 甫는 밭에 덩굴식물이 충분히 퍼지도록 돕는 모습으로 부족한 옷을 채우는 돕다 의미를 설명할 수 있습니다.” 옷을 덧대는 밭길 모양의 자국의 모습” 으로 표현했습니다. 이 이미지를 바탕으로 補(보)한자의 …
옷기울 보 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