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바지할 공 恭

이바지할 공 恭 : 손 모아(八) 올려(廾) 공경하는 마음(心) 한자 恭(공손할 공)은 “두 손을 모아 정중히 바치는 마음”을 표현한 글자입니다. “두손으로 노인을 안내하는 모습” 으로 표현했습니다. 여럿이 함께(八) 손을 맞들어(廾) 무언가를 바치는 형상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엄숙하고 예의 바른 태도를 상징합니다.

녹을 융 融

녹을 융 融 : 가마솥(鬲)에 찌면 애벌레(虫) 모양으로 녹아 변형이 있다. 融(녹을 융)이 ‘가마솥(鬲)에 넣어 불에 가열하면, 애벌레(虫) 모양처럼 꿈틀거리며 녹아 변하는 모습’으로 표현했습니다.즉, 불에 의해 단단한 것이 녹아 다른 것으로 변하는 과정을 직관적으로 나타낸 글자로, 후대에는 ‘융합·조화’의 의미로 확장되었습니다. 이 이미지를 바탕으로 融(융) 한자의 대표적 의미를 풀어보겠습니다. ① 가마솥에 쪄서 녹아 없어진다. → 변하여 …
녹을 융 融 더보기

벼룩 조 蚤

벼룩 조 蚤 : 자주(又) 튀어오르는 벌레(虫)는 벼룩이다. 蚤 는 벌레(虫)와 또 우(又)의 모습이 결합된 형태로, “작은 곤충이 긴 다리로 사람의 몸에 달라붙어 뛰고 튀는 모습” 으로 표현했습니다.又 한자는 적극적으로 벼룩이 여러번 높이 닿으려 뻗는 모습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뜻 의 意

뜻 의 意 : 뜻을 말하면, 정신이 고양된다. ‘뜻’을 의미하는 意(의)를 ‘마음속 소리에 고양되어 주먹을 불끈 쥐는 사람’으로 표현했습니다.이 이미지를 바탕으로 몇 가지 생활 속 이야기로 意(의) 한자를 풀어보겠습니다. ◆ 스토리 1 : 분명한 소리로 뜻이 태어난다. –> 뜻마음속에 분명한 소리를 내는 마음은, 구체적으로 스스로 ‘의식(意識)’을 가지게 됩니다. ◆ 스토리 2 : 정신이 고양되다누군가가 그 …
뜻 의 意 더보기

[한자 모양자]맡을 사 司

“司”는 갑골문에서 손으로 지시하거나 명령하는 행동을 형상화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司(사)는 ‘관리하는 역할’이라는 신하 또는 관리직의 기능적 상징에서 출발했으며, 공통적으로 ‘주관, 지휘, 통제’의 역할이 핵심입니다. 책임을 지고 다스리는 역할을 의미하며, 관직이나 조직에서 사용됩니다. 또한, 사무를 처리하는 기관을 뜻하기도 합니다. 예시) 司法(사법) , 公司(공사) 맡을 사 司 : 살짝(𠃍) 잡아 일정하게(一) 유지(口)해 주다. 한자 司(사)는 신하의 …
[한자 모양자]맡을 사 司 더보기

기를 사 飼

기를 사 飼 : 관리하는것에 먹이를 주어 기른다. 飼는 食(밥 식) 부수에 司(다스릴 사) 가 합쳐진 글자입니다. 즉, “먹을 것을 관리하며 주는 행위”가 핵심의미입니다. 이를 그림으로 풀면, “밥그릇을 살피며 관리자가 동물에게 먹이를 건네는 모습”으로 표현했습니다.

말 사 詞

詞(사)한자는 말(언어)과 관련된 표현으로 시문(詩文)의문장 표현을 가리키기도 합니다. 예시) 歌詞 가사, 名詞 명사, 形容詞 형용사 말 사 詞 : 다듬고 관리된 문장의 말 詞(사) 한자는 시문(詩文)에서 사용되는 문장으로 “악보로 관리된 부르는 노래말“으로 표현했습니다. 詞(사)는 ‘말씀(言)을 관리(司)하여 문장으로 다듬은 것’을 뜻하며, 단어·문장·문체·시가의 의미로 확장된 글자입니다. 예시) 歌詞 가사, 名詞 명사, 形容詞 형용사

[ 한자 부수 ] 앞나아갈 발 癶

앞나아갈 발 癶 : 양발로 하나 하나 걷다. 癶는 두 발을 벌려 올라가듯 걷는 모습 에서 유래했으며, ‘하나하나 발을 떼다’, ‘차근차근 올라가다’의 이미지를 담고 있다. 갑골문에서는 점차적으로 발걸음을 떼어오르는 모습으로 해석되며, ‘단계’, ‘준비’, ‘시작의 움직임’을 상징한다. 다양한 조합자에서 어떤 과정의 시작, 돌파, 노력, 올라감 등을 의미 전환으로 유도한다. 의미전환1: 양발로 하나 하나 걷다.發 필 발登 …
[ 한자 부수 ] 앞나아갈 발 癶 더보기

[한자 모양자]없을 무無

無자는 ‘없다,않다’ 의미로 쓰인다. 갑골문에 나온 無자는 양팔로 춤추는 사람 의 그림으로 알려져 있다.주로 부정적인 의미로 사용되며 “無限” (무한)은 ‘끝이 없다’는 뜻을 의미합니다. 없을 무 無 : 손 많이 움직여(卌) 없애다(灬) 無(없을 무)는 조합 사용시 ‘손을 움직여 거친부분을 없앤다’는 핵심 의미로 “거칠게 난 잡초를 손으로 부지런히 만지고 뽑는 모습“으로 표현했습니다. 특히, “卌”자의 반복된 이미지는 동적인 …
[한자 모양자]없을 무無 더보기

그늘 음 陰

그늘 음 陰 : 언덕(阝),지붕(今),구름(云)이 그늘을 만든다. 陰(음)은 “阜”는 언덕을 의미하며, “侌”은 음의 소리를 나타내는 부분입니다. 즉, “陰”은 형성(形聲) 문자한자로 그늘, 어둠, 숨겨진 것 등의 의미를 가집니다. 특히, 언덕(阝), 지붕(今), 구름(云)이 그늘을 만든다는 의견이 있습니다. 예시 ) 陰影(음영) – 그림자, 어두운 부분 , 陰陽(음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