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로울 리 利 : 곡식(禾)을 잘라서(刂) 남는것이 이익이다. 利(이)’는 곡식(禾)을 베는 날붙이(刀 또는 刂)의 그림에서 유래합니다. 고대 농경 사회에서는 수확을 위해 곡식을 자르는 행위가 바로 이익의 실현입니다. 따라서 ‘利’는 “곡식을 자르다 → 남는 것이 생기다 → 이롭다”로 발전했습니다.즉, “잘라낸 후 남은 것이 이익”이라는 개념을 시각적으로 형상화한 글자입니다. 이 이미지를 바탕으로 몇 가지 생활 속 이야기로 …
이로울 리 利 더보기
[카테고리:] 4관리자_한자
character
apan : japan , String china : china
안녕하세요!1
다. 이것은 첫 글입니다. 바로 편집하거나 삭제한 다음 쓰기 시작하세요! 동해물과 백두산이 마르고 닳도록 하느님이 보호핫. [xyz-ips snippet=”usercount”] 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