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칠 무 蕪

📜 기원과 의미

 잡초 무, 황폐할 무
 : 거칠다, 무성하다, 어지럽다, 황무지, 순무        :  wild, overgrown, desolate, disorderly           :  くさむら (kusamura, 잡풀무리) ぶ (bu)
  :  wú       부수 :  艹 풀 초   :  艹 풀 초 + 無 없을 무  

그림한자공부

🖼️ 그림 힌트 : 한 개의 이미지와 한 줄 스토리로 이해해보자

💡 조합 사용 시 ‘핵심 의미’ 설명

蕪(거칠 무) 자는 艹(풀 초)와 無(없다/흩어지다 무)로 이루어진 글자입니다. 풀(艹)이 무성하게 자라서 가지런함이 사라지고,
마치 머리카락을 손으로 흩트려 놓은 듯 거칠고 어지러운 상태를 표현한 것입니다. 따라서 蕪(무)는 “가꾸지 않아 흩어지고 거칠어진 풀”의 이미지를 담고 있습니다.

이 이미지를 바탕으로 蕪(무) 한자의 대표적 의미를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습니다.

거칠게 무성한 풀 → 황무지, 잡초, 순무(식물명) → 荒蕪地 황무지
정돈되지 않아 어지러운 상태 → 복잡하고 난잡함
흩어지고 달아나는 모양 → 무너지고 흩어짐

🧩 참고할 부수,모양자

.
없을 무 無 의미전환 : 만져서 흩트려 거칠어 진다. > 무성한, 거칠다 (廡 무성할 무) 비회원 페이지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