넘어질 도 倒

📜 기원과 의미

 넘어질 도
 :  넘어지다 , 뒤집다 , 기절하다         :   Fall , Flip , Faint           :   たおれる (taoreru)   とう (tou) 
  :   dǎo       부수 :   亻사람 인    :   亻 사람 인 + 到 이를 도  

그림한자공부

🖼️ 그림 힌트 : 한 개의 이미지와 한 줄 스토리로 이해해보자

💡 조합 사용 시 ‘핵심 의미’ 설명

倒 (도) 한자는 “도착해서 결국 넘어지는 결과” 라는 핵심 의미로 “달리기 하는 사람이 결국 경계선에 넘어지는 기대와 다른 결과가 되는 모습”는 의미의 한자로 표현했습니다.

특히, ‘亻(사람 인)’은 사람이 몸을 기울려 넘어지는 있는 모습이고, ‘至'(도착할 지) + ‘刂’(칼, 경계선)는 목표 지점에 이른다는 뜻을 형성하는 모양자 입니다.

◆ 스토리 1 . 결국 물리적 쓰러진다. → 쓰러지다. → 壓倒 압도 倒錯 도착
경계선을 넘지 못하고, 넘어지는 모습니다.

◆ 스토리 2. 결국 넘어져 부정적 결과된다. → 실패 , 후퇴 → 倒產 도산 , 卒倒 졸도
경계선을 넘지 못해 부정적 결과가 된다

◆ 스토리 3. 결과가 기대와 다르게 넘어진다. → 예상과 다른, 역으로,오히려 → 倒置 도치 ,倒錯的 도착적
“결과선에서 넘어진다”는 “정상적인 결과와 다른 이상한 상황” 으로 의미확대가 됩니다.

🧩 참고할 부수,모양자

.
이를 도 到 의미전환 : 그은 경계선(刂)까지 화살(至)이 날아와 꽂혀있다.비회원 페이지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