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바닥 장 掌

📜 기원과 의미

 손바닥 장
 :  손바닥 , 장악하다 , 지배         :   Palm , Grasp , Control           :   たなごころ (tanagokoro)   しょう (shou) 
  :   zhǎng       부수 :   手손 수    :   手 손 수 + 尚 높을 상  

그림한자공부

🖼️ 그림 힌트 : 한 개의 이미지와 한 줄 스토리로 이해해보자

💡 조합 사용 시 ‘핵심 의미’ 설명

掌(장) 한자는 본래 “손바닥”을 뜻하며, 손을 위로 펴서 무언가를 받치거나 올려놓는 모습을 형상화한 글자입니다. “손(手)을 위로 펴서(尙) 손바닥 보이다“가 핵심 이미지입니다.

手(수) : 손, 손동작을 나타내며, 여기서는 실제 손바닥 부분을 의미합니다.
尙(상) : ‘위로 올리다, 높이다’라는 뜻을 가진 부분으로, 손을 위로 펼쳐 보이는 자세를 강조합니다.
尙은 원래 지붕 아래에서 무언가를 높여 받드는 형상이며, 여기서는 손을 위로 향하게 한 모양과 겹쳐 “손을 위로 펴다”라는 동작성을 나타냅니다.

🧩 참고할 부수,모양자

.
손 수 手 의미전환 : 손바닥을 대다 > 손으로 잡다.(承 이을 승)비회원 페이지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