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부수] 눈 목目

📜 기원과 의미

 눈 목
 :  눈 , 목적 , 목표         :   Eye , Purpose , Goal           :   め (me)   もく (moku) 
  :   mù       부수 :   目눈 목    :   

그림한자공부

目(목)은 사람의 눈을 본뜬 상형문자로, ‘가까운 대상을 보는 기관’으로서 ‘가까움’, ‘면밀한 주시’ 등의 의미를 담습니다. 초기에는 가로로 그려졌으나, 후에 세로로 변형되었습니다.

‘目’ 자체가 부수로 사용되며, 시각과 관련된 한자(예: 見, 眼, 眠 등)의 구성 요소로 활용됩니다.

예시 ) 目撃(목격) , 注目(주목) , 目標(목표), 注目(주목), 目前(목전)

🖼️ 그림 힌트 : 한 개의 이미지와 한 줄 스토리로 이해해보자

💡 조합 사용 시 ‘핵심 의미’ 설명

目(목) 자는 사람의 ” 눈동자와 눈꺼풀을 가까운 모양 “을 본떠 만든 상형문자로, 눈의 형태와 윤곽이 뚜렷하게 나타난 글자입니다.

다른 한자와 조합사용시는 “가깝게 하다”는 의미가 있어 “눈을 가까이 해서 증거를 확인하는 조사관“으로 표현했습니다.
이 이미지를 바탕으로 몇 가지 생활 속 이야기로 目(목) 한자를 풀어보겠습니다.

◆ 스토리 1 : 상대와 가까이 있다. –> 눈꺼풀, 방패, 난간
단순히 가까이 있는 모습으로. 두 눈꺼풀이 서로 가까이 있음은 눈을 감고 있는 것이다. 眠(잘 면),瞽(장님 고)를 설명할 수 있다.
盾(방패 순) 邊 (가 변 )은 상대방에 가까이 있는 것이다. 바로 앞에서 적을 상대하는 방패를 연상해 볼수 있다.

◆ 스토리 2 : 가까이 있어 붙다, 느끼다. → 접촉, 본인, 시초
‘가까이 있다’ 이미지는 ‘가까운것을 느낀다’ 의미로 확대되어 곁눈질(睨)로 바로 옆을 확인하거나, 가장 가까운 바로 자신(自)을 느끼게 된다.

◆ 스토리 3 : 가깝게 보아 살핀다, 응시다. → 판단과 감시, 돌봄, 계산
눈은 먼 곳보다 가까운 것을 더 정확히 본다. 그래서 고대 문헌에서는 “손으로 눈을 가려 햇빛을 차단하고 먼 곳을 살펴본다”는 ‘看’이 나왔고, 이어 ‘監’, ‘瞰’, ‘省’ 같은 감시와 평가의 기능으로 발전했다.
‘가까이 보다’ 이미지는 ‘더 정확하고 안전하게 보다’ 의미확장이 되어 算(셈 산), 眷(돌볼 권 )처럼 눈을 바싹 가져다 대고 지켜보는 그림을 연상해 볼 수 있습니다.


🔠 다양한 의미전환의 예시

의미 전환 1 : (눈꺼풀이) 가까이 해서 눈을 감다> 눈감다, 맹인 , 눈꺼풀
眠 잘 면/거짓말 면 ( 자다, 휴식하다 > 죽은 시늉을 하다 > 거짓말 )
眼 눈 안, 눈 불거진 모양 은
瞑 감을 명, 잠잘 면
瞼 눈꺼풀 검
眇 애꾸눈 묘/정묘할 묘
眚 흐릴 생
瞽 맹인 고
瞍 맹인 수, 맹인 소

의미 전환 2 : (다른 상대방이) 가까이 있는 것 > 난간 , 처마, 방패, 가장자리
楯 난간 순, 책상 준, 수레 춘
盾 방패 순
楣 문미 미 (차양,처마) ##눈과눈썹이 차양처럼
具 갖출 구
臬 말뚝 얼 ( 목표, 극한, 기둥, 해시계 )
邊 가 변 ( 가장자리, 측면, 모퉁이 ) * 江邊 강변

의미 전환 3 : 가까이 있다 * 어쩔수 없이 붙어 있어야 하는 상황이다.
相 서로 상, 빌 양 -시중드는 사람, 악기,기원하다,접대원
着 붙을 착, 나타날 저 ( 붙다 > 옷 입다, 머리쓰다, 신다. > 분명해지다 ) * 到着 도착 , 執着 집착
冒 무릅쓸 모

의미 전환 4 : 가까이 있는것 느끼다.> 곁눈질, 시초 , 냄새맡다.
睨 곁눈질할 예
瞯 지릅뜰 한, 엿볼 간
睆 가득 찬 모양 환, 추파 던질 완
自 스스로 자 ( 본연, 처음, 시초 , 진실 , 따르다. )
嗅 맡을 후

의미 전환 5 : (생생하게) 가깝게 느껴지는 >맑은, 이쁜, 맑은 눈빛, 눈동자
睟 바로 볼 수 ( 바로 보다, 순수하다 )
盼 눈 예쁠 반, 눈 예쁠 변, 동틀 분
眸 눈동자 모

의미 전환 6 : 가까이 보다 > 판단, 감시, 돌보다.
督 감독할 독
省 살필 성
看 볼 간
見 볼 견
眼 눈 안, 눈 불거진 모양 은
瞳 눈동자 동
睛 눈동자 정
睢 물 이름 수, 부릅떠 볼 휴
盱 쳐다볼 우 ( 부릅뜨다 )
眸 눈동자 모
勖 힘쓸 욱, 힘쓸 무
瞋 부릅뜰 진
眈 노려볼 탐, 넘성거릴 침
篡 빼앗을 찬
瞰 굽어볼 감
眺 바라볼 조
眷 돌볼 권

의미 전환 7 : 가까이 해서 > 계산하다, 확인
算 셈 산
直 곧을 직, 값 치
眞 참 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