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원과 의미
|
韓 : 손 , 방법 , 기술
英 : Hand , Method , Skill
日 : て (te)
しゅ (shu)
中 : shǒu 부수 : 手손 수 뜻 : 手 손 수 그림한자공부 |
手자는 다섯 손가락 모습 상형문자로, 주로 손이 하는 역할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예시: 그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다양한 수단(手段)을 사용했다.
🖼️ 그림 힌트 : 한 개의 이미지와 한 줄 스토리로 이해해보자

手 : 손바닥을 써서, 크게 움직인다.
💡 조합 사용 시 ‘핵심 의미’ 설명
手(수) 조합사용시 “손으로 쥐고 , 크게 움직여 힘쓴다”로 “손바닥으로 수건을 잡고 크게 좌우로 흔들어 힘을 쓰는 모습“으로 표현했습니다.
손의 주요한 기능은 손바닥으로 잡는 행동을 강조한 의미입니다. 안으로 감싸 단단히 쥔 모습로 시작한 의미가 크게 움직여 일어나는 여러 상황을 표현합니다.
이 이미지를 바탕으로 手(수) 한자의 대표적 의미를 풀어보겠습니다.
◆ 스토리 1 : 손바닥을 써서 걸레를 쥐다 → ‘쥐다 / 들다 / 힘을 주다’
→ 擧(들다), 拳(주먹), 撑(버티다), 挈(들다)
◆ 스토리 2 : 손바닥을 써서 걸레질에 힘쓰다 → ‘붙잡다 / 잡다 / 끌다 / 누르다 ’
→ 承(이음), 拏(붙잡다), 攣(걸리다), 拿(잡다), 摯(잡다), 擎(들다)
◆ 스토리 3 : 손바닥으로 걸레를 펴서 문지른다. → ‘버리다 / 문지르다 / 절하다’
→ 捨(버리다), 損(덜다), 抑(누르다), 掌(손바닥), 摩(문지르다), 看(보다), 拜(절하다)
🔠 다양한 의미전환의 예시
의미 전환 1 : 손바닥을 써서 힘쓰다.
擧 들 거
拳 주먹 권
撑 버틸 탱
挈 손에 들 설, 새길 계, 홀로 갈 갈
의미 전환 2 : 손바닥을 써서 힘쓰다. > 손으로 잡다. 쥐다, 붙잡다.
承 이을 승, 구원할 증
拏 붙잡을 나
攣 걸릴 련
拿 잡을 나
摯 잡을 지
擎 들 경
의미 전환 3 : 손바닥을 펴다 > 버리다. 누르다.
捨 버릴 사
損 덜 손
抑 누를 억
의미 전환 4 : 손바닥을 펴고 힘쓰다. > 문지르다, 절을 하다.
掌 손바닥 장
摩 문지를 마
看 볼 간
拜 절 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