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원과 의미
|
韓 : 칼, 날카로운 것
英 : Knife, Sharp object
日 : かたな (katana)
とう (tou)
中 : dāo 부수 : 刀 칼 도 뜻 : 刀 칼 도 그림한자공부 |
刂는 ‘칼 도’로, 무엇인가를 ‘베거나 자르며 분리·분별한다’는 행위를 나타냅니다.
본래 刀(칼 도)의 오른쪽 모양자 변형으로, 의미 강화를 위해 일부 한자에서는 부수로 작용합니다.
利(날카롭다), 判(판단하다), 剖(쪼개다) 등에서 刂는 분리 행위의 뿌리 개념을 표현합니다.
🖼️ 그림 힌트 : 한 개의 이미지와 한 줄 스토리로 이해해보자

선칼도방 도 刂 : 바로 옆까지 잘라, 경계가 분명해진다.
💡 조합 사용 시 ‘핵심 의미’ 설명
刂(도) 한자는 조합 사용 시 “바로옆까지 잘라, 경계가 분명해진다.”는 핵심 의미를 가지며, “조각의 표면을 깍아 사람모습을 만드는”는 이미지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이 이미지를 바탕으로 몇 가지 생활 속 이야기로 刂(도) 한자를 풀어보겠습니다.
◆ 스토리1: 칼로 깍아 구분하다 – 새기다, 기록·표현 , 경계, 분석, 판단
“칼로 깍고 새겨 구체적인 모양을 만들다” 의미확대가 있습니다. 刻, 刊, 같은 글자는 이처럼 무언가를 새기고 남기기 위한 날카로움 입니다. 이는 인쇄하다(刷), 제작하다(製)처럼 무언가를 만드는 행위로 확장됩니다.
또한, 別, 制, 前, 剖 같은 글자는 칼이 만들어낸 경계의 상징으로 분별(辨)하는 의미가 됩니다.
◆ 스토리2: 칼로 깍아 모습을 상하게 하다 – 심하다. 남은 것 ,
“칼로 새겨 경계를 넘을듯한 모습 “로 의미입니다. 剩(남을 잉)
◆ 스토리3: 칼로 깍아도 모양을 유지한다. – 극적이다, 견디어서 강하다,
“칼로 새김을 견디어 원래 모양을 유지한다”로 강하고, 극복하는 의미로 剋, 剝, 劇 같은 표현이 있습니다. 칼날 같은 시련을 이겨낸 이들에게 남은 건 ‘단단함’입니다. 시련은 지나가고, 강함이 남습니다.
단절을 견디고도 남아 있는 것의 본질적 강함을 상징하며, 剛(굳셀 강) 같은 글자로 표현됩니다.
🔠 다양한 의미전환의 예시
의미 전환 1. 날카롭게 잘라 모양이 된다. > 새기다. 기록하다.
刻 새길 각
刺 찌를 자, 찌를 척
刊 새길 간
劍 칼 검
刲 찌를 규
의미 전환 2 : 날카롭게 잘라 모양이 된다. > 인쇄하다, 만들다. 남다
刷 인쇄할 쇄
製 지을 제
刹 절 찰 (사찰, 탑 )
의미 전환 3 : 날카롭게 잘라 벗기다 > 분리 , 벌리다.
別 나눌 별/다를 별
制 절제할 제/지을 제
前 앞 전/자를 전
班 나눌 반
剝 벗길 박
列 벌일 렬
剖 쪼갤 부
刳 가를 고
剌 발랄할 랄(날), 어그러질(contradict) 랄(날)
의미 전환 4 : ( 날카롭게 ) 바로옆까지 자르다. > 곁, 곧, 세밀
側 곁 측
釗 볼 소 (만나보다,힘쓰다)
則 곧 즉, 법칙 칙 ( 본보기로 삼다 )
의미 전환 5 : ( 날카롭게 ) 바로옆까지 자르다 넘다 선을 넘다 , 심하다. * 날카롭게 그어 놓은 선을 넘어 버린 상황
到 이를 도 ( 닿다 > 세밀하다> 기만하다 )
倒 넘어질 도 (거꾸로 되다, 몸을 해치다 , 쏟다 )
劇 심할 극 ( 심하다 >장난하다 > 놀이 )
의미 전환 6 : ( 날카롭게 ) 바로옆까지 잘라도 견디어 내다.
剋 이길 극 ( 베다 > 각박하다 > 자신을 이기다 )
剛 굳셀 강 ( 겨우,조금 > 단단하다 )
의미 전환 7 : 날카롭게 잘라 > 상하게 하다.
裂 찢을 렬
削 깎을 삭, 채지 소
割 벨 할
創 비롯할 창/다칠 창
刮 깎을 괄
劉 죽일 류
剽 겁박할 표
剪 가위 전/깎을 전
刪 깎을 산
刈 벨 예
의미 전환 8 : ( 날카롭게 ) 바로옆까지 잘라 분별함. > 분리 , 분별
判 판단할 판
辨 분별할 변
例 법식 례
測 헤아릴 측
刑 형벌 형/탕기 형
罰 죄 벌
劃 그을 획
의미 전환 9 : ( 날카롭게 ) 바로옆까지 잘라 분별함. > (분별했는데) 남은것, 이익
利 날카로울 리 (날카롭다,이롭다.)
副 버금 부, 쪼갤 복, 쪼갤 핍, 쪼갤 벽 ( 으뜸 다음의 , 원본아닌것 )
剔 바를 척, 깎을 체
剩 남을 잉 ( 너무 길다 > 나머지 )